대한민국에서 학번은 세대, 나이, 출생년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기준입니다. 취업, 자격증, 학교생활, 각종 생활 행정 등에서 ‘몇 학번인지’, ‘몇 년생인지’, ‘현재 만나이가 어떻게 되는지’는 사회적, 실무적으로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 90학번부터 25학번까지, 학번별 나이 및 출생년도, 만나이(만 나이) 계산법을 표로 총정리합니다.
출생연도와 나이 계산이 헷갈리는 분, 공식 확인이 필요한 분, 신속히 만나이 확인이 필요한 분을 위해 이 글을 꼭 끝까지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지금 바로 아래 공식 계산기로 자신과 친구, 가족, 동료의 정확한 학번별 나이·출생년도·만나이를 확인해보세요.
e청소년 공식 만나이 계산기
국가통계포털 연령별 인구통계
2025년 학번별 나이와 출생년도, 만나이 계산법 핵심 가이드
90학번~25학번까지 전 세대의 궁금증 해소
2025년을 기준으로, 90학번부터 25학번까지의 학번별 출생년도와 만나이, 연나이(한국식 나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다음과 같은 궁금증을 모두 해결할 수 있습니다.
- 2025년이면 각 학번별로 몇 살이 되는지 정리된 표를 찾고 싶을 때
- 사회생활, 채용, 자녀 계획, 연인과의 나이 차이 등 다양한 상황에서 만나이나 출생년도, 띠를 바로 알고 싶을 때
- 실제 공식기관, 국가통계, e청소년 등 대한민국 정부 제공 자료로 신뢰성 있게 확인하고 싶을 때
- 직장, 동아리, 동문회 등에서 세대 소통과 공감, 각종 연령 관련 질문에 빠르고 정확하게 답하고 싶을 때
각종 연관 서비스, 상세한 계산법, 정부 공식 통계 사이트까지 안내하니 원하는 정보를 놓치지 마세요.
2025년 학번별 나이표와 출생년도, 만나이 한눈에 보기
학번, 출생년도, 2025년 기준 만나이, 연나이 총정리
학번별로 출생년도와 2025년 기준 만나이(만 나이), 연나이(한국식 나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만나이: 2025년 생일이 지났는지에 따라 1살 차이가 납니다.)
학번 | 출생년도 | 2025년 (만나이, 생일 전) | 2025년 (만나이, 생일 후) | 2025년 (연나이) |
---|---|---|---|---|
90학번 | 1971 | 53 | 54 | 55 |
91학번 | 1972 | 52 | 53 | 54 |
92학번 | 1973 | 51 | 52 | 53 |
93학번 | 1974 | 50 | 51 | 52 |
94학번 | 1975 | 49 | 50 | 51 |
95학번 | 1976 | 48 | 49 | 50 |
96학번 | 1977 | 47 | 48 | 49 |
97학번 | 1978 | 46 | 47 | 48 |
98학번 | 1979 | 45 | 46 | 47 |
99학번 | 1980 | 44 | 45 | 46 |
00학번 | 1981 | 43 | 44 | 45 |
01학번 | 1982 | 42 | 43 | 44 |
02학번 | 1983 | 41 | 42 | 43 |
03학번 | 1984 | 40 | 41 | 42 |
04학번 | 1985 | 39 | 40 | 41 |
05학번 | 1986 | 38 | 39 | 40 |
06학번 | 1987 | 37 | 38 | 39 |
07학번 | 1988 | 36 | 37 | 38 |
08학번 | 1989 | 35 | 36 | 37 |
09학번 | 1990 | 34 | 35 | 36 |
10학번 | 1991 | 33 | 34 | 35 |
11학번 | 1992 | 32 | 33 | 34 |
12학번 | 1993 | 31 | 32 | 33 |
13학번 | 1994 | 30 | 31 | 32 |
14학번 | 1995 | 29 | 30 | 31 |
15학번 | 1996 | 28 | 29 | 30 |
16학번 | 1997 | 27 | 28 | 29 |
17학번 | 1998 | 26 | 27 | 28 |
18학번 | 1999 | 25 | 26 | 27 |
19학번 | 2000 | 24 | 25 | 26 |
20학번 | 2001 | 23 | 24 | 25 |
21학번 | 2002 | 22 | 23 | 24 |
22학번 | 2003 | 21 | 22 | 23 |
23학번 | 2004 | 20 | 21 | 22 |
24학번 | 2005 | 19 | 20 | 21 |
25학번 | 2006 | 18 | 19 | 20 |
이 표만 확인하면 학번별 나이와 출생년도, 만나이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학번, 출생년도, 만나이·연나이 계산 공식
- 학번 → 출생년도 : 학번 + 1981 = 출생년도 (예: 00학번 → 1981년생)
- 출생년도 → 학번 : 출생년도 – 1981 = 학번 (예: 1992년생 → 11학번)
- 만나이 (2025년 기준) : 2025 – 출생년도 – (생일 전이면 1, 지났으면 0)
- 연나이 (한국식 나이) : 2025 – 출생년도 + 1
만나이, 연나이란? 한국나이와 법정나이 기준 완전 해설
만나이·연나이의 정의와 적용
만나이(만 나이)란?
- 만나이는 ‘국제표준 나이’로, 출생일을 기준으로 매년 생일이 지나야만 한 살이 올라갑니다.
- 2023년 6월 28일부터 대한민국 공식 표준 나이로 전환.
- 2025년 기준, 만나이 = 2025 – 출생년도(생일 전이면 -1)
연나이(한국식 나이)란?
- 연나이는 올해 연도를 기준으로 출생연도를 빼고 1을 더합니다. (매년 1월 1일에 한 살을 더하는 방식)
- 법령, 행정, 학교 등에서는 더 이상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일부 일상에서는 여전히 활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2025년 기준, 연나이 = 2025 – 출생년도 + 1
공식 기관/정부 서비스의 안내
- 대한민국 정부는 법적으로 만나이만을 활용합니다. 각종 행정, 학교, 병원, 공공기관 등은 모두 만나이만 인정합니다.
- e청소년 공식 만나이 계산기에서 정확한 만나이 계산이 가능합니다.
2025년 기준 학번별 나이, 출생년도, 띠, 특징까지 완벽 정리
학번별로 띠 확인, 빠른년생, 특징 정리
띠(간지)와 학번의 관계
- 띠는 12년을 주기로 반복되므로, 1990년생(09학번)은 말띠, 2000년생(19학번)은 용띠 등으로 구분됩니다.
- 공식 통계 국가통계포털 연령별 인구통계에서도 연령별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빠른년생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 ‘빠른년생’(예: 2000년 1~2월생)은 과거에는 입학이 빨라 학번이 앞당겨졌지만, 법적으로는 해당 출생년도 학번으로 취급됩니다.
- 만나이는 출생일이 기준이기 때문에 빠른년생 개념이 사라졌습니다.
예시 Q&A
- Q. 19학번은 2025년 만나이 기준 몇 살인가요?
- A. 2000년생, 2025년 생일 전이면 만 24세, 생일 후면 만 25세입니다.
- Q. 90학번은 2025년에 몇 살인가요?
- A. 1971년생, 생일이 이미 지나면 만 54세, 전이면 만 53세입니다.
- Q. 군 복무, 대학원, 휴학 등으로 실제 학번과 출생년도가 다를 때는?
- A. 본인 출생년도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공식 만나이 계산기·연령확인 서비스 활용 노하우
쉽고 빠른 공식 계산방법과 활용 팁
e청소년 공식 만나이 계산기
- e청소년 공식 만나이 계산기에서는 출생일과 기준일(2025.01.01 등)을 입력하면 정확한 만나이 계산이 가능합니다.
- 입력 방법: 출생연도, 월, 일 입력 → 기준일 입력 → 계산 결과 확인.
국가통계포털 연령별 자료
- 국가통계포털 연령별 인구통계에서는 각 연령대별 인구수, 출생년도별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정책적 용도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하세요.
실제 사례로 보는 학번별 나이·출생년도 실전 활용
다양한 상황에서의 활용 예시
1. 취업, 입사, 자격증 응시
- 응시 나이, 지원 자격, 복지 조건 등에는 반드시 만나이가 기준이 됩니다.
- 모집 공고마다 기준일(2025.01.01, 2025.12.31 등)이 확정되어 있다면, e청소년 또는 정부24 공식 계산기를 이용해 기준일에 맞는 만나이를 계산하세요.
2. 생활 행정, 사회서비스, 병원, 복지 정책
- 학교 입학, 복지 서비스, 병원 진료 등 국가기관과 공공서비스는 모두 만나이를 기준으로 처리합니다.
- 공식 사이트에서 나이 산출 후 관련 서류와 함께 제출이 가능합니다.
3. 가족, 동문, 팀, 동아리 내 나이 비교
- 90학번~25학번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함께 활동하는 조직, 모임, 동아리 등에서는 이 표를 활용하면 쉽게 의사소통과 세대 공감이 가능합니다.
4. 자녀 계획, 결혼, 연애, 세대 차이 이해
- 상대방의 학번만 알아도 나이 차이, 출생년도, 띠 등이 바로 파악되어 공감대 형성이 쉬워집니다.
- 실제로 결혼정보회사, 교사, 상담사, 인사담당자 등은 공식 표와 계산기를 항상 참고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과 빠른 해결 TIP
Q. 25학번은 몇 년생이고, 2025년 만나이는?
- 2006년생이며, 2025년 기준 생일 전이면 만 18세, 생일 후면 만 19세입니다.
Q. 2000년생은 무슨 학번?
- 19학번입니다. (출생년도 – 1981 = 학번)
Q. 실제 입학을 재수, 조기, 해외 유학 등으로 달리한 경우는?
- 실질적으로는 입학연도 기준 학번이지만, 만나이 산출은 출생년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Q. 한국에서 이제 더 이상 연나이를 안 쓰나요?
- 네, 2023년 6월부터 공공기관, 행정, 학교, 병원 등 모든 분야에서 만나이만 공식적으로 사용합니다.
Q. 대학교, 군 복무, 자격증 등은 어떤 나이 기준인가요?
- 반드시 만나이 기준으로 서류를 준비해야 하며, 각종 자료와 증명서 제출 시 공식 계산기를 활용하세요.
2025년 학번별 나이·출생년도·만나이 공식 한 번에 정리
꼭 기억해야 할 계산 공식
- 학번 + 1981 = 출생년도
- 출생년도 – 1981 = 학번
- 2025년 만나이 = 2025 – 출생년도 – (생일 전이면 1, 생일 후면 0)
- 2025년 연나이 = 2025 – 출생년도 + 1
공식 계산기가 필요할 때는 e청소년 만나이 계산기,
인구현황 분석은 국가통계포털 연령별 인구통계를 참고하세요.
결론|2025년 학번별 나이표, 출생년도, 만나이… 한눈에 끝내는 완벽 솔루션
이 글만 읽으면 2025년 기준 90학번부터 25학번까지,
학번별 출생년도, 정확한 만나이, 연나이, 띠, 계산법까지
모든 정보를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공식 자료로 손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학번과 나이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세대를 파악하고,
공식 업무, 사회활동, 취미, 연애, 자녀 교육, 자격증, 복지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활용되는 삶의 필수 정보입니다.
계산이 필요할 때마다, 정확성이 필요한 순간마다
아래의 공식 계산기로 언제든지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해보세요.
e청소년 공식 만나이 계산기
국가통계포털 연령별 인구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