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28일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면서 한국식 나이는 공식적으로 폐지되고 만 나이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11월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만 나이 계산에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학번으로 나이를 추정할 때 빠른 년생 여부에 따라 실제 나이가 1살 차이가 나며, 생일 전후에 따라서도 만 나이가 달라져 정확한 계산이 어렵습니다.
만 나이는 태어난 날을 0세로 시작해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하는 방식입니다. 2025년 11월 14일 기준으로 2000년 1월 1일생은 만 25세이지만, 2000년 12월 31일생은 아직 생일이 안 지나 만 24세입니다. 동일한 2000년생이지만 생일에 따라 1살 차이가 나며, 이는 투표권, 음주·흡연 허용 나이, 병역 의무 등 각종 법적 권리와 의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학번별 나이를 정확히 계산하려면 3가지 정보가 필요합니다. 첫째, 학번에서 출생년도를 역산합니다. 90학번은 1971년생, 00학번은 1981년생, 10학번은 1991년생, 20학번은 2001년생, 25학번은 2006년생입니다. 둘째, 빠른 년생 여부를 확인합니다. 1월 1일에서 2월 말 사이에 태어난 빠른 년생은 전년도 출생자이므로 90학번 빠른 년생은 1970년생입니다. 셋째, 현재 날짜와 생일을 비교합니다. 생일이 지났으면 (2025-출생년도), 생일이 안 지났으면 (2025-출생년도-1)이 만 나이입니다.
만 나이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일이 지난 경우: 만 나이 = 현재 연도 – 출생연도, 생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 만 나이 = 현재 연도 – 출생연도 – 1입니다. 예를 들어 2025년 11월 14일 기준 1995년 3월 15일생은 생일이 지나 만 30세이지만, 1995년 12월 25일생은 생일이 안 지나 만 29세입니다. 빠른 년생은 전년도 출생자이므로 95학번 빠른 년생(1994년 1월생)은 만 31세입니다.
이 글에서는 90학번부터 25학번까지 출생년도와 만 나이를 완벽히 정리하고, 빠른 년생 나이 계산법, 생일 전후 만 나이 변화, 학번별 나이 자가 진단 공식, 만 나이 적용 시 달라지는 주요 정책까지 모든 것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자신의 정확한 만 나이를 확인하고 각종 법적 권리를 정확히 파악하세요.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만 나이 계산법 왜 학번별 나이를 찾는 데 필수일까
만 나이는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사용하는 나이 계산법으로, 태어난 날을 0세로 시작해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합니다. 한국은 2023년 6월 28일부터 만 나이 통일법을 시행해 공식 문서와 법적 절차에서 한국식 나이를 폐지하고 만 나이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나이로 인한 혼란을 줄이고 국제 기준에 맞추기 위한 조치입니다.
학번별 나이를 찾을 때 만 나이가 필수인 이유는 법적 권리와 의무가 만 나이 기준으로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투표권은 만 18세, 음주·흡연은 만 19세, 병역 의무는 만 18세부터 시작되며, 한국식 나이가 아닌 만 나이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2007년 2월 15일생은 2025년 11월 기준 한국식 나이로 19세이지만 만 나이로는 18세여서 아직 음주와 흡연이 불가능합니다.
학번과 출생년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학번은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대학에 입학한 경우를 기준으로 하며, 학번에 19를 더하면 출생연도가 됩니다. 90학번은 1971년생, 00학번은 1981년생, 10학번은 1991년생, 20학번은 2001년생, 25학번은 2006년생입니다. 다만 재수생은 출생연도가 1년 빠르고, 빠른 년생은 전년도 출생자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빠른 년생은 만 나이 계산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과거 초등학교 취학 기준이 만 6세였던 시절, 3월 1일 기준으로 만 6세가 되지 않은 1~2월생도 조기 입학할 수 있었습니다. 이들이 빠른 년생이며, 같은 학년이지만 실제로는 전년도 출생자여서 나이가 1살 많습니다. 예를 들어 95학번 일반은 1976년생이지만, 95학번 빠른 년생은 1975년 1~2월생입니다.
| 구분 | 한국식 나이 (폐지) | 연 나이 | 만 나이 (현행) |
|---|---|---|---|
| 계산 기준 | 태어난 해 1세, 1월 1일마다 +1세 | 현재 연도 – 출생연도 | 생일마다 +1세 |
| 적용 분야 | 일상 대화 (폐지) | 일부 행정 | 법적 권리·의무 전체 |
| 2000년 1월생 (2025년 기준) | 26세 (폐지) | 25세 | 25세 (생일 지남) |
| 2000년 12월생 (2025년 기준) | 26세 (폐지) | 25세 | 24세 (생일 안 지남) |
만 나이 통일 정책에 따른 2025년 기준 나이 계산법 상세 해부
만 나이 통일법은 2023년 6월 28일부터 시행되었으며, 모든 법령과 공식 문서에서 나이는 만 나이로만 표기하도록 규정합니다. 이에 따라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공식 신분증의 나이는 만 나이 기준이며, 계약서, 보험, 은행 업무 등 모든 법적 문서도 만 나이를 사용합니다. 다만 일상 대화에서는 여전히 한국식 나이나 연 나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만 나이 계산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출생연도를 확인합니다. 주민등록번호 앞 6자리 중 앞 2자리가 출생연도이며, 00~25는 2000년대, 26~99는 1900년대입니다. 예를 들어 950315는 1995년 3월 15일생, 051225는 2005년 12월 25일생입니다. 둘째, 현재 연도(2025년)에서 출생연도를 뺍니다. 1995년생은 2025-1995=30, 2005년생은 2025-2005=20입니다.
셋째, 현재 날짜(2025년 11월 14일)와 생일을 비교합니다. 생일이 이미 지났다면 위에서 계산한 숫자가 그대로 만 나이입니다. 1995년 3월 15일생은 생일이 지나 만 30세입니다. 생일이 아직 안 지났다면 1을 빼야 합니다. 2005년 12월 25일생은 생일이 안 지나 20-1=만 19세입니다. 이 계산법은 모든 출생연도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2025년 12월 31일까지 유효합니다.
2026년이 되면 계산이 다시 바뀝니다. 2026년 1월 1일부터는 현재 연도가 2026년이 되므로, 1995년생은 2026-1995=31, 2005년생은 2026-2005=21로 기본 계산값이 1씩 증가합니다. 마찬가지로 생일이 지났으면 그대로, 생일이 안 지났으면 1을 빼야 합니다. 1995년 3월 15일생은 2026년 3월 15일부터 만 31세가 되고, 2005년 12월 25일생은 2026년 12월 25일부터 만 21세가 됩니다.
연 나이와 만 나이의 차이도 알아야 합니다. 연 나이는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뺀 값으로, 생일과 무관하게 1월 1일에 모두 1살씩 증가합니다. 2000년생의 연 나이는 2025-2000=25세로 고정되며, 1월생이든 12월생이든 동일합니다. 반면 만 나이는 생일 기준이므로 2000년 1월생은 만 25세, 2000년 12월생은 만 24세로 차이가 납니다. 법적으로는 만 나이를 사용하지만, 일부 행정 절차(병역 판정, 학교 입학 등)는 연 나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계산 단계 | 방법 | 예시 1 (1995.03.15) | 예시 2 (2005.12.25) |
|---|---|---|---|
| 1단계: 출생연도 확인 | 주민등록번호 앞 2자리 | 1995년 | 2005년 |
| 2단계: 기본 계산 | 2025 – 출생연도 | 2025 – 1995 = 30 | 2025 – 2005 = 20 |
| 3단계: 생일 비교 (2025.11.14 기준) | 생일 지남/안 지남 확인 | 3월 15일 → 지남 | 12월 25일 → 안 지남 |
| 4단계: 만 나이 확정 | 생일 안 지났으면 -1 | 만 30세 | 20 – 1 = 만 19세 |
빠른 년생 나이 계산법과 만 나이 적용 시 달라지는 기준
빠른 년생이란 무엇이고 나이는 어떻게 계산하나
빠른 년생은 1월 1일에서 2월 말(윤년은 2월 29일, 평년은 2월 28일) 사이에 태어나 초등학교를 1년 일찍 입학한 사람들을 말합니다. 과거 초등학교 취학 기준이 3월 1일 기준 만 6세였기 때문에, 3월 1일 당시 만 6세가 안 된 1~2월생도 부모의 선택으로 조기 입학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1995년 2월 15일생은 2001년 3월 1일 기준으로 만 6세가 아닌 만 5세이지만, 조기 입학 신청을 통해 01학번으로 초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습니다.
빠른 년생의 학번과 출생연도 관계는 일반 학생과 다릅니다. 일반 학생은 학번에 19를 더하면 출생연도가 되지만, 빠른 년생은 학번에 18을 더해야 합니다. 95학번 일반은 1976년생이지만, 95학번 빠른 년생은 1975년 1~2월생입니다. 00학번 일반은 1981년생이지만, 00학번 빠른 년생은 1980년 1~2월생입니다. 이는 빠른 년생이 전년도 출생자이기 때문입니다.
빠른 년생의 만 나이는 일반 학생보다 1살 많습니다. 2025년 11월 14일 기준 95학번 일반(1976년생)은 생일에 따라 만 48세 또는 만 49세이지만, 95학번 빠른 년생(1975년 1~2월생)은 생일이 이미 지나 만 50세입니다. 동일한 95학번이지만 빠른 년생이 일반보다 나이가 1~2살 많으며, 이는 사회생활에서 혼란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입니다.
현재는 빠른 년생 제도가 사실상 폐지되었습니다. 2009년부터 초등학교 입학 기준이 변경되어 만 6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태어난 아동만 입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2003년 이후 출생자는 빠른 년생이 존재하지 않으며, 09학번 이후부터는 빠른 년생이 없습니다. 다만 08학번 이전의 경우 여전히 빠른 년생이 존재하므로, 나이 계산 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 학번 | 일반 출생연도 | 빠른 년생 출생연도 | 일반 만 나이 (2025.11.14) | 빠른 년생 만 나이 (2025.11.14) |
|---|---|---|---|---|
| 90학번 | 1971년 | 1970년 1~2월 | 만 53~54세 | 만 55세 |
| 95학번 | 1976년 | 1975년 1~2월 | 만 48~49세 | 만 50세 |
| 00학번 | 1981년 | 1980년 1~2월 | 만 43~44세 | 만 45세 |
| 05학번 | 1986년 | 1985년 1~2월 | 만 38~39세 | 만 40세 |
| 08학번 | 1989년 | 1988년 1~2월 | 만 35~36세 | 만 37세 |
학번별 나이 자가 진단 공식과 생일 전후 만 나이 변화
학번별 나이를 자가 진단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 학생: 출생연도 = 1900 + 학번 + 19 (00학번 이후는 2000 + 학번 – 81), 빠른 년생: 출생연도 = 일반 출생연도 – 1, 만 나이 = 2025 – 출생연도 (생일 지남) 또는 2025 – 출생연도 – 1 (생일 안 지남)입니다. 이 공식을 적용하면 학번만 알아도 출생연도와 만 나이를 즉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시로 살펴보면, 10학번 일반의 출생연도는 1900 + 10 + 19 = 1991년입니다. 2025년 11월 14일 기준으로 1991년 5월생은 생일이 지나 만 34세, 1991년 12월생은 생일이 안 지나 만 33세입니다. 10학번 빠른 년생은 1991 – 1 = 1990년 1~2월생이며, 이미 생일이 지나 만 35세입니다. 20학번 일반은 2000 + 20 – 81 = 2001년생이며, 2001년 8월생은 생일이 지나 만 24세, 2001년 11월 15일생은 생일이 안 지나 만 23세입니다.
생일 전후 만 나이 변화 유의사항도 중요합니다. 만 나이는 오직 생일에만 증가하며, 1월 1일이나 학년이 바뀌는 3월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2000년 12월 25일생은 2025년 1월 1일에는 여전히 만 24세이고, 2025년 12월 25일이 되어야 만 25세가 됩니다. 법적 권리와 의무도 생일 기준이므로, 만 19세 음주·흡연 허용도 생일이 지나야 가능합니다.
특별히 주의해야 할 생일은 2월 29일입니다. 윤년에만 존재하는 날이므로, 평년에는 2월 28일 또는 3월 1일 중 어느 날을 생일로 보느냐가 문제가 됩니다. 민법상으로는 3월 1일 0시에 나이를 먹는 것으로 규정하므로, 2000년 2월 29일생은 평년인 2025년에는 3월 1일에 만 25세가 됩니다. 다만 일상에서는 2월 28일을 생일로 기념하는 경우가 많아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90학번부터 25학번까지 출생년도와 만 나이 완벽 대조표
90학번~09학번 출생년도와 2025년 기준 만 나이
90학번부터 09학번까지는 대부분 40대에서 50대에 해당하며, 직장에서 중견 이상의 위치에 있거나 관리직을 맡고 있는 연령대입니다. 이 세대는 빠른 년생이 존재하는 마지막 세대로, 나이 계산 시 빠른 년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90학번 일반은 1971년생으로 2025년 11월 14일 기준 생일이 지났으면 만 54세,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 53세입니다. 90학번 빠른 년생은 1970년 1~2월생으로 이미 생일이 지나 만 55세입니다.
95학번은 1976년생으로 2025년 기준 만 48~49세이며, 대기업 부장급이나 중소기업 임원급에 해당합니다. 00학번은 밀레니엄 세대의 시작으로 1981년생이며 만 43~44세, 과장에서 차장급으로 직장 내 핵심 실무자입니다. 05학번은 1986년생으로 만 38~39세, 대리에서 과장급으로 경력 10년 차 이상의 중견 직장인입니다. 09학번은 1990년생으로 만 34~35세이며, 사원에서 대리급으로 직장 경력 5~10년 차입니다.
| 학번 | 일반 출생연도 | 빠른 년생 출생연도 | 2025년 만 나이 (생일 지남) | 2025년 만 나이 (생일 안 지남) | 세대 특징 |
|---|---|---|---|---|---|
| 90학번 | 1971년 | 1970년 1~2월 | 만 54세 / 만 55세 | 만 53세 / 만 55세 | X세대 초기, 아날로그→디지털 전환 |
| 91학번 | 1972년 | 1971년 1~2월 | 만 53세 / 만 54세 | 만 52세 / 만 54세 | X세대, 경제 위기 극복 세대 |
| 92학번 | 1973년 | 1972년 1~2월 | 만 52세 / 만 53세 | 만 51세 / 만 53세 | X세대, 민주화 운동 경험 |
| 93학번 | 1974년 | 1973년 1~2월 | 만 51세 / 만 52세 | 만 50세 / 만 52세 | X세대, 직장 내 관리직 |
| 94학번 | 1975년 | 1974년 1~2월 | 만 50세 / 만 51세 | 만 49세 / 만 51세 | X세대, 50대 진입 |
| 95학번 | 1976년 | 1975년 1~2월 | 만 49세 / 만 50세 | 만 48세 / 만 50세 | X세대, 40대 후반 |
| 96학번 | 1977년 | 1976년 1~2월 | 만 48세 / 만 49세 | 만 47세 / 만 49세 | X세대, PC 통신 세대 |
| 97학번 | 1978년 | 1977년 1~2월 | 만 47세 / 만 48세 | 만 46세 / 만 48세 | X세대, IMF 세대 |
| 98학번 | 1979년 | 1978년 1~2월 | 만 46세 / 만 47세 | 만 45세 / 만 47세 | X세대 후기 |
| 99학번 | 1980년 | 1979년 1~2월 | 만 45세 / 만 46세 | 만 44세 / 만 46세 | X세대, 인터넷 초기 |
| 00학번 | 1981년 | 1980년 1~2월 | 만 44세 / 만 45세 | 만 43세 / 만 45세 | 밀레니엄 세대 시작 |
| 01학번 | 1982년 | 1981년 1~2월 | 만 43세 / 만 44세 | 만 42세 / 만 44세 | 밀레니엄 세대 |
| 02학번 | 1983년 | 1982년 1~2월 | 만 42세 / 만 43세 | 만 41세 / 만 43세 | 밀레니엄 세대 |
| 03학번 | 1984년 | 1983년 1~2월 | 만 41세 / 만 42세 | 만 40세 / 만 42세 | 밀레니엄 세대 |
| 04학번 | 1985년 | 1984년 1~2월 | 만 40세 / 만 41세 | 만 39세 / 만 41세 | 밀레니엄 세대, 40대 진입 |
| 05학번 | 1986년 | 1985년 1~2월 | 만 39세 / 만 40세 | 만 38세 / 만 40세 | 밀레니엄 세대 |
| 06학번 | 1987년 | 1986년 1~2월 | 만 38세 / 만 39세 | 만 37세 / 만 39세 | 밀레니엄 세대 |
| 07학번 | 1988년 | 1987년 1~2월 | 만 37세 / 만 38세 | 만 36세 / 만 38세 | 밀레니엄 세대 |
| 08학번 | 1989년 | 1988년 1~2월 | 만 36세 / 만 37세 | 만 35세 / 만 37세 | 밀레니엄 세대, 빠른 년생 마지막 |
| 09학번 | 1990년 | 없음 (제도 폐지) | 만 35세 | 만 34세 | 밀레니엄 세대, 빠른 년생 없음 |
10학번~19학번 출생년도와 2025년 기준 만 나이
10학번부터 19학번까지는 30대 초중반에 해당하며, 직장에서 신입에서 대리급으로 실무를 담당하는 연령대입니다. 이 세대는 빠른 년생이 없으므로 나이 계산이 비교적 단순합니다. 10학번은 1991년생으로 2025년 기준 만 34~35세이며, 직장 경력 5~10년 차로 실무 능력이 가장 뛰어난 시기입니다. 15학번은 1996년생으로 만 28~29세, 직장 경력 3~5년 차로 독립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단계입니다.
19학번은 2000년생으로 만 24~25세이며, 대학 졸업 직후 사회 초년생입니다. 이 세대는 Z세대의 핵심으로 디지털 네이티브이며, SNS와 모바일에 익숙합니다. 2000년생은 밀레니엄의 상징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으며, 2025년에 만 25세가 되어 병역 의무와 투표권을 모두 갖게 됩니다.
| 학번 | 출생연도 | 2025년 만 나이 (생일 지남) | 2025년 만 나이 (생일 안 지남) | 세대 특징 |
|---|---|---|---|---|
| 10학번 | 1991년 | 만 34세 | 만 33세 | 밀레니엄 세대, 직장 핵심 실무자 |
| 11학번 | 1992년 | 만 33세 | 만 32세 | 밀레니엄 세대 |
| 12학번 | 1993년 | 만 32세 | 만 31세 | 밀레니엄 세대 |
| 13학번 | 1994년 | 만 31세 | 만 30세 | 밀레니엄 세대, 30대 진입 |
| 14학번 | 1995년 | 만 30세 | 만 29세 | 밀레니엄 세대 |
| 15학번 | 1996년 | 만 29세 | 만 28세 | 밀레니엄 세대 |
| 16학번 | 1997년 | 만 28세 | 만 27세 | 밀레니엄 세대 |
| 17학번 | 1998년 | 만 27세 | 만 26세 | 밀레니엄 세대 |
| 18학번 | 1999년 | 만 26세 | 만 25세 | 밀레니엄 세대 |
| 19학번 | 2000년 | 만 25세 | 만 24세 | 밀레니엄 세대, 2000년생 |
20학번~25학번 출생년도와 2025년 기준 만 나이
20학번부터 25학번까지는 20대 초중반에 해당하며, 대학생이거나 사회 초년생입니다. 20학번은 2001년생으로 2025년 기준 만 23~24세이며, 대학 4학년이거나 사회 초년생입니다. 만 19세가 넘어 음주·흡연이 가능하며, 만 18세가 넘어 투표권과 병역 의무가 있습니다. 22학번은 2003년생으로 만 21~22세, 대학 2~3학년으로 전공 공부에 집중하는 시기입니다.
25학번은 2006년생으로 만 18~19세이며, 2025년 3월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입니다. 2006년 1월~11월 14일생은 만 19세로 음주·흡연이 가능하지만, 2006년 11월 15일~12월생은 아직 만 18세로 음주·흡연이 불가능합니다. 이 미묘한 차이가 대학 신입생 사이에서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생일을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 학번 | 출생연도 | 2025년 만 나이 (생일 지남) | 2025년 만 나이 (생일 안 지남) | 법적 권리·의무 |
|---|---|---|---|---|
| 20학번 | 2001년 | 만 24세 | 만 23세 | 투표권·병역·음주·흡연 가능 |
| 21학번 | 2002년 | 만 23세 | 만 22세 | 투표권·병역·음주·흡연 가능 |
| 22학번 | 2003년 | 만 22세 | 만 21세 | 투표권·병역·음주·흡연 가능 |
| 23학번 | 2004년 | 만 21세 | 만 20세 | 투표권·병역·음주·흡연 가능 |
| 24학번 | 2005년 | 만 20세 | 만 19세 | 투표권·병역·음주·흡연 가능 |
| 25학번 | 2006년 | 만 19세 | 만 18세 | 만 19세는 음주·흡연 가능, 만 18세는 투표권·병역만 |
만 나이 적용 시 주요 정책 변화 완벽 총정리
만 나이 통일법 시행으로 투표권, 음주·흡연, 병역, 청소년 보호, 경로 우대 등 모든 법적 권리와 의무가 만 나이 기준으로 통일되었습니다. 투표권은 만 18세부터이며, 2007년 이후 출생자부터 적용됩니다. 2007년 1월 1일생은 2025년 1월 1일에 만 18세가 되어 투표권을 얻었으며, 2025년 치러진 모든 선거에 투표할 수 있습니다. 음주와 흡연은 만 19세부터이며, 2006년 출생자 중 생일이 지난 사람만 가능합니다.
병역 의무는 만 18세에 시작되며, 병역판정검사는 만 19세가 되는 해에 실시됩니다. 2006년생은 2025년에 병역판정검사를 받으며, 검사 결과에 따라 현역, 보충역, 면제로 분류됩니다. 입영은 만 20세부터 가능하며, 2005년생은 2025년부터 입영 대상입니다. 청소년 보호법상 청소년은 만 19세 미만이며, 2006년 11월 15일 이후 출생자는 2025년 11월 14일 기준으로 여전히 청소년입니다.
경로 우대는 만 65세 이상이며, 1960년 이전 출생자가 해당합니다. 지하철 무료 승차, 국립공원 입장료 면제, 경로석 이용 등의 혜택이 있으며, 생일이 지나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960년 12월생은 2025년 12월까지는 만 64세로 경로 우대를 받을 수 없지만, 2025년 12월 생일 이후부터는 만 65세가 되어 혜택을 받습니다.
| 정책 분야 | 만 나이 기준 | 2025년 해당 출생연도 | 비고 |
|---|---|---|---|
| 투표권 | 만 18세 이상 | 2007년생 이전 (생일 지남) | 대통령·국회의원·지방선거 투표 |
| 음주·흡연 | 만 19세 이상 | 2006년생 이전 (생일 지남) | 편의점·술집 신분증 확인 필수 |
| 병역판정검사 | 만 19세 되는 해 | 2006년생 | 검사 후 현역·보충역·면제 분류 |
| 입영 | 만 20세 이상 | 2005년생 이전 | 현역 판정자 입영 통지서 발송 |
| 청소년 보호 | 만 19세 미만 | 2006년 11월 15일 이후 출생 | 청소년 유해 업소 출입 제한 |
| 경로 우대 | 만 65세 이상 | 1960년생 이전 (생일 지남) | 지하철 무료, 공원 입장료 면제 |
90학번부터 25학번까지 만 나이를 정확히 계산하려면 출생연도, 빠른 년생 여부, 생일 전후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학번에서 출생연도를 역산하고,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뺀 후 생일이 안 지났으면 1을 빼는 공식을 적용하면 정확한 만 나이를 알 수 있습니다. 빠른 년생은 08학번 이전에만 존재하며, 전년도 출생자이므로 나이가 1살 많습니다. 만 나이는 투표권, 음주·흡연, 병역 등 모든 법적 권리와 의무의 기준이므로, 자신의 정확한 만 나이를 알고 있어야 불이익을 받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가이드를 참고해 본인의 만 나이를 정확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공식 참고 링크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