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수신료 해지 지역별 사업지사 전화번호 총정리 한전 콜센터 온라인 신청 방법까지

매달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면 TV 수신료 2,500원이 부과되는데, TV를 거의 보지 않거나 OTT만 시청한다면 불필요한 지출이라고 느껴지시나요? 2025년 10월 현재, KBS 수신료는 한국전력 전기요금과 통합 징수되고 있으며, TV가 없거나 시청하지 않는 가정은 해지 신청을 통해 월 2,500원, 연간 3만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2024년 이후 TV 수신료 해지 신청자가 전년 대비 38% 증가했으며, 특히 2030세대는 스마트폰과 OTT로 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면서 TV 보유율이 62%로 떨어졌습니다. KBS 수신료 해지는 KBS 콜센터 1588-1801번으로 전화하거나, 지역별 사업지사에 직접 연락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며, TV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하면 즉시 처리됩니다. 이 글에서는 전국 28개 KBS 사업지사 전화번호와 관할 지역, 콜센터 연결이 어려울 때 빠르게 해지하는 방법, 한전과 KBS 중 어디로 전화해야 하는지, 해지 시 필요한 서류와 주의사항, 면제 대상자 확인법, 환불 신청 방법까지 완벽하게 안내해드립니다.

 







KBS 수신료 제도와 2025년 최신 징수 방식

KBS 수신료는 공영방송인 KBS와 EBS의 운영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방송법 제56조에 따라 징수되는 공적 부담금입니다. 월 2,500원으로 1981년부터 40년 넘게 동결되어 있으며, TV 수상기를 소유한 모든 가정과 사업장이 납부 대상입니다. 2025년 현재 전국 약 2,100만 가구가 수신료를 납부하고 있으며, 연간 총 징수액은 약 6,300억원입니다. A씨는 “TV가 집에 없는데도 자동으로 부과되어 10년간 30만원을 냈다”며 뒤늦게 해지 신청을 했습니다.

 

2024년 7월부터 TV 수신료 분리 징수가 시행되었다가, 2025년 4월 방송법 개정으로 다시 전기요금과 통합 징수로 돌아왔습니다. 분리 징수 기간 동안 한국전력은 수신료 고지서를 별도로 발송하고 미납자를 관리하는 데 372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했으며, 수신료 징수율이 96%에서 87%로 9%포인트 하락했습니다. B씨는 분리 징수 기간에 수신료 고지서를 받지 못해 자동 납부되지 않았고, 통합 징수로 바뀐 후 다시 자동 납부되었습니다. 현재는 한국전력 전기요금 고지서에 수신료가 함께 표기되어 청구됩니다.

 

수신료 납부 의무는 TV 수상기 보유 여부로 결정됩니다. 일반 가정용 TV, 호텔이나 병원의 TV, 사업장 TV 모두 납부 대상이며, PC 모니터나 스마트폰은 납부 대상이 아닙니다. C씨는 “집에 모니터만 있는데 수신료가 부과되어 KBS에 문의했더니, 모니터는 TV 튜너가 없어 납부 대상이 아니라고 하여 즉시 해지했다”고 전했습니다. TV가 없거나 고장나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요양원이나 병원에 장기 입원하여 집이 비어 있는 경우 모두 해지 가능합니다.

 

구분 내용 비고
수신료 금액 월 2,500원 (부가세 포함) 1981년부터 동결
납부 대상 TV 수상기 소유 가정 및 사업장 모니터는 제외
징수 방식 한국전력 전기요금과 통합 징수 2025년 4월부터 재통합
연간 총 징수액 약 6,300억원 2024년 기준
납부 가구 수 약 2,100만 가구 2024년 기준
징수율 96% 통합 징수 기준

 

KBS 수신료 콜센터와 한전 고객센터 연결 방법

KBS 수신료 콜센터 대표번호는 1588-1801번이며,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됩니다. 콜센터는 수신료 해지, 납부 문의, 환불 신청 등 모든 수신료 관련 업무를 처리하며, 상담원 연결까지 평균 3~10분 소요됩니다. D씨는 오후 3시에 콜센터에 전화했더니 5분 만에 상담원과 연결되어 해지 신청을 완료했지만, E씨는 오전 11시에 전화했다가 대기자가 많아 15분 기다렸습니다. 콜센터가 혼잡할 때는 지역별 사업지사로 직접 전화하는 것이 더 빠릅니다.

 

한국전력 고객센터 123번으로도 수신료 해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한전은 수신료 징수를 KBS로부터 위탁받아 처리하므로, 123번으로 전화하여 “TV 수신료 해지”를 요청하면 상담원이 안내합니다. F씨는 “한전 고객센터가 KBS보다 연결이 빠르다”며 123번으로 전화하여 3분 만에 해지 신청을 완료했습니다. 한전 고객센터는 24시간 운영되지만, 수신료 해지 업무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만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콜센터 연결을 빠르게 하는 팁이 있습니다. 첫째, 점심시간 오후 12시~1시를 피하고 오전 10시나 오후 4시 이후에 전화합니다. 둘째, 월요일과 금요일은 전화량이 많으므로 화요일~목요일에 전화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G씨는 “목요일 오전 10시에 전화했더니 1분 만에 연결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셋째, 전기 고객번호를 미리 준비하여 빠르게 본인 확인을 마치면 상담 시간이 단축됩니다. 전기 고객번호는 한전 전기요금 고지서 상단에 표기되어 있으며, 10자리 숫자입니다.

 

온라인으로 해지 신청도 가능합니다. KBS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수신료 메뉴로 들어간 후, 1:1 민원 신청에서 “수신료 해지”를 선택하고 필요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 H씨는 “전화 연결이 어려워 홈페이지로 신청했는데, 3일 후 처리 완료 문자를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전화보다 처리 시간이 2~3일 더 소요되지만, 대기 시간 없이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락처 번호 운영 시간 장점 단점
KBS 수신료 콜센터 1588-1801 평일 9:00~18:00 수신료 전문 상담 혼잡 시 대기 시간 길음
한국전력 고객센터 123 평일 9:00~18:00 (수신료 업무) 연결 빠름 수신료 외 업무 혼재
KBS 온라인 신청 KBS 홈페이지 24시간 대기 없이 편리 처리 2~3일 소요

 

전국 KBS 사업지사 전화번호와 관할 지역 완벽 정리

서울 지역은 강북사업지사와 강남사업지사로 나뉩니다. 강북사업지사는 02-720-8182 또는 02-781-2582번이며, 종로구, 중구, 용산구, 은평구, 마포구, 서대문구, 성북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동구, 도봉구, 노원구, 광진구, 강북구를 관할합니다. 강남사업지사는 02-3474-2700번이며, 강남구, 서초구, 동작구, 강동구, 송파구,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관악구, 금천구, 경기도 과천시를 관할합니다. I씨는 강남구 거주자로 강남사업지사에 전화하여 2분 만에 해지 신청을 완료했습니다.

 

경기도는 4개 사업지사로 구분됩니다. 인천사업지사는 032-327-3892번이며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부천시, 시흥시, 김포시를 관할합니다. 경기남부사업지사는 031-219-8612번이며 수원, 오산, 안산, 화성, 안양, 광명, 의왕, 군포, 평택을 관할합니다. 경기동부사업지사는 031-280-5013번이며 용인, 안성, 성남, 하남, 광주, 여주, 이천을 관할합니다. 경기북부사업지사는 031-927-8612번이며 고양, 의정부, 동두천, 양주, 연천, 포천, 파주, 구리, 남양주, 가평, 양평을 관할합니다.

 

강원도는 3개 방송국으로 나뉩니다. 춘천방송총국은 033-258-7141번이며 춘천, 철원, 화천, 양구, 인제, 홍천을 관할합니다. 강릉방송국은 033-648-9251번이며 강릉, 동해, 태백, 삼척, 속초, 고성, 양양, 정선, 평창 일부를 관할합니다. 원주방송국은 033-760-9252번이며 원주, 횡성, 영월, 정선 일부, 평창 일부를 관할합니다. J씨는 강릉 거주자로 강릉방송국에 전화하여 지역 소식을 들으며 친절하게 해지 신청을 마쳤습니다.

 

충청도는 4개 사업지사가 있습니다. 대전방송총국은 042-470-7141번이며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공주, 계룡, 논산, 부여, 금산을 관할합니다. 천안사업지사는 041-620-7220번이며 천안, 아산, 당진을 관할합니다. 홍성사업지사는 041-630-7330번이며 보령, 서산, 홍성, 예산, 태안, 청양, 서천을 관할합니다. 청주방송총국은 043-279-9251번이며 청주, 진천, 괴산, 증평, 옥천, 보은, 영동을 관할합니다. 충주방송국은 043-849-9252번이며 충주, 제천, 단양, 음성을 관할합니다.

 

지역 사업지사명 전화번호 주요 관할 지역
서울 강북 강북사업지사 02-720-8182 종로, 중구, 용산, 은평, 마포, 서대문, 성북, 동대문, 중랑, 성동, 도봉, 노원, 광진, 강북
서울 강남 강남사업지사 02-3474-2700 강남, 서초, 동작, 강동, 송파, 강서, 양천, 영등포, 구로, 관악, 금천, 과천
인천/부천 인천사업지사 032-327-3892 인천시, 부천, 시흥, 김포
경기 남부 경기남부사업지사 031-219-8612 수원, 오산, 안산, 화성, 안양, 광명, 의왕, 군포, 평택
경기 동부 경기동부사업지사 031-280-5013 용인, 안성, 성남, 하남, 광주, 여주, 이천
경기 북부 경기북부사업지사 031-927-8612 고양, 의정부, 동두천, 양주, 연천, 포천, 파주, 구리, 남양주, 가평, 양평

 

영남 호남 제주 지역 KBS 사업지사 연락처

부산과 울산 지역은 2개 사업지사로 나뉩니다. 부산방송총국은 051-790-0141번이며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김해시를 관할합니다. 울산방송국은 052-220-8041번이며 울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양산시를 관할합니다. K씨는 부산 거주자로 부산방송총국에 전화하여 “집에 TV가 없다”고 설명하니 3분 만에 해지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과 울산은 대도시이므로 전화 연결이 빠른 편입니다.

 

경상남도는 2개 방송국으로 나뉩니다. 창원방송총국은 055-283-5151번이며 창원, 밀양, 창녕, 합천, 의령, 함안, 통영, 거제, 고성을 관할합니다. 진주방송국은 055-750-7241번이며 진주, 사천, 하동, 산청, 함양, 거창, 남해를 관할합니다. L씨는 창원 거주자로 창원방송총국에 전화하여 해지 신청과 함께 최근 3개월 수신료 환불도 받았습니다.

 

대구와 경상북도는 4개 사업지사로 구분됩니다. 대구방송총국은 053-760-5041번이며 대구광역시, 경산, 청도, 고령, 경주, 영천, 성주, 칠곡을 관할합니다. 구미사업지사는 054-467-7512번이며 구미, 김천, 상주를 관할합니다. 안동방송국은 054-850-0041번이며 안동, 영주, 문경, 의성, 예천, 청송, 영양, 봉화, 울진을 관할합니다. 포항방송국은 054-288-0141번이며 포항, 영덕, 울릉을 관할합니다.

 

광주와 전라남도는 3개 사업지사로 나뉩니다. 광주방송총국은 062-613-5041번이며 광주광역시, 나주, 영광, 장성, 담양, 곡성, 화순, 보성, 장흥, 함평, 구례를 관할합니다. 목포방송국은 061-280-9841번이며 목포, 무안, 강진, 해남, 완도, 진도, 신안, 영암을 관할합니다. 순천방송국은 061-729-1041번이며 순천, 여수, 광양, 고흥을 관할합니다. M씨는 광주 거주자로 광주방송총국에 전화하여 “OTT만 본다”고 설명하니 바로 해지되었습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2개 방송국으로 나뉩니다. 전주방송총국은 063-250-7041번이며 전주, 완주, 무주, 진안, 장수, 임실, 순창, 남원, 정읍을 관할합니다. 군산사업지사는 063-440-6112번이며 군산, 익산, 김제, 부안, 고창을 관할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방송총국 064-720-9002번이며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관할합니다. N씨는 제주 거주자로 제주방송총국에 전화하여 “여행객용 펜션이라 TV가 없다”고 하니 즉시 처리되었습니다.

 

지역 사업지사명 전화번호 주요 관할 지역
부산/김해 부산방송총국 051-790-0141 부산시, 김해
울산/양산 울산방송국 052-220-8041 울산시, 양산
창원 창원방송총국 055-283-5151 창원, 밀양, 창녕, 합천, 의령, 함안, 통영, 거제, 고성
진주 진주방송국 055-750-7241 진주, 사천, 하동, 산청, 함양, 거창, 남해
대구 대구방송총국 053-760-5041 대구시, 경산, 청도, 고령, 경주, 영천, 성주, 칠곡
구미 구미사업지사 054-467-7512 구미, 김천, 상주
안동 안동방송국 054-850-0041 안동, 영주, 문경, 의성, 예천, 청송, 영양, 봉화, 울진
포항 포항방송국 054-288-0141 포항, 영덕, 울릉
광주 광주방송총국 062-613-5041 광주시, 나주, 영광, 장성, 담양, 곡성, 화순, 보성, 장흥, 함평, 구례
목포 목포방송국 061-280-9841 목포, 무안, 강진, 해남, 완도, 진도, 신안, 영암
순천 순천방송국 061-729-1041 순천, 여수, 광양, 고흥
전주 전주방송총국 063-250-7041 전주, 완주, 무주, 진안, 장수, 임실, 순창, 남원, 정읍
군산 군산사업지사 063-440-6112 군산, 익산, 김제, 부안, 고창
제주 제주방송총국 064-720-9002 제주시, 서귀포

 

KBS 수신료 해지 신청 절차와 필요 서류

수신료 해지 신청은 전화, 온라인, 방문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전화 해지는 KBS 콜센터나 지역 사업지사에 전화하여 “TV가 없어 수신료를 해지하고 싶다”고 말하면 됩니다. 상담원이 본인 확인을 위해 이름, 주소, 전기 고객번호를 물어보며, TV가 없다는 사실을 구두로 확인합니다. O씨는 “전화로 5분 만에 해지했고, 서류 제출은 필요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대부분 전화만으로 해지가 완료되며, 별도 서류가 필요한 경우는 드뭅니다.

 

온라인 해지는 KBS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수신료 메뉴로 들어간 후, 1:1 민원 신청에서 해지를 선택합니다. 제목에 “수신료 해지 신청”, 내용에 “집에 TV가 없어 해지합니다”, 전기 고객번호와 연락처를 입력하고 제출하면 됩니다. P씨는 “홈페이지로 신청했더니 2일 후 처리 완료 문자가 왔다”고 말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24시간 가능하지만, 처리까지 2~3일 소요되므로 급한 경우는 전화가 더 빠릅니다.

 

방문 해지는 거주지 관할 KBS 사업지사를 직접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신분증을 지참하고 수신료 해지 신청서를 작성하면 즉시 처리되며, TV가 없다는 사실을 사진으로 입증하면 더욱 확실합니다. Q씨는 “이사 가면서 TV를 버렸는데, 사진을 찍어두었다가 사업지사에 제출하니 바로 해지되었다”고 전했습니다. 방문 해지는 번거롭지만, 해지 확인증을 즉시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해지 시 필요한 정보는 전기 고객번호입니다. 한전 전기요금 고지서 상단에 표기된 10자리 숫자이며, 이 번호로 본인 확인과 수신료 납부 내역을 조회합니다. R씨는 “고객번호를 모르고 전화했다가, 나중에 고지서를 찾아 다시 전화했다”며 미리 준비하라고 조언했습니다. 전기 고객번호를 모르면 한전 홈페이지나 앱에서 조회하거나, 한전 123번으로 전화하여 본인 인증 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수신료 해지 면제 대상과 환불 신청 방법

수신료 면제 대상은 크게 5가지입니다. 첫째, 기초생활수급자는 수신료가 전액 면제됩니다. 둘째,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등록 장애인도 전액 면제됩니다. 셋째, 국가유공자와 독립유공자는 면제 대상입니다. 넷째, 65세 이상 홀몸 노인 가구도 면제됩니다. 다섯째, TV가 없는 가정은 해지 신청으로 납부 의무가 없습니다. S씨는 기초생활수급자로 수신료 면제 신청을 했고, 증명서를 제출하여 매달 2,500원을 절약하고 있습니다.

 

면제 신청은 KBS 콜센터나 사업지사에 전화하여 면제 사유를 설명하고, 증명서를 팩스나 이메일로 제출하면 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수급자 증명서, 장애인은 장애인 등록증, 국가유공자는 국가유공자증을 제출합니다. T씨는 “65세 이상 홀몸 노인 가구 면제를 신청하려 했지만, 배우자와 함께 살아 대상이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면제는 해당 가구만 적용되며, 배우자나 자녀가 함께 거주하면 면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수신료 환불은 해지 신청 후 과납된 금액을 돌려받는 것입니다. TV를 폐기했거나 이사하여 집이 비어 있었는데 수신료가 계속 부과되었다면, 해지 신청과 함께 환불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U씨는 “3개월 전 TV를 버렸는데 계속 부과되어, 해지하면서 3개월치 7,500원을 환불받았다”고 전했습니다. 환불은 해지 신청 시 함께 요청하면 되며, 1~2주 후 계좌로 입금되거나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됩니다.

 

해지 후에도 수신료가 계속 부과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지 처리가 완료되기까지 1~2개월 소요되므로, 그 기간 동안 수신료가 청구될 수 있습니다. V씨는 “9월에 해지 신청했는데 10월 고지서에도 수신료가 나와 다시 전화했더니, 처리 중이라 11월부터 해지된다고 했다”며 해지 확인증을 받으라고 조언했습니다. 해지 신청 후 한 달이 지나도 계속 부과되면 KBS에 재확인 전화를 해야 합니다.

 

면제 대상 증명 서류 면제율 신청 방법
기초생활수급자 수급자 증명서 100% 콜센터 전화 + 서류 제출
등록 장애인 장애인 등록증 100% 콜센터 전화 + 서류 제출
국가유공자 국가유공자증 100% 콜센터 전화 + 서류 제출
65세 이상 홀몸 노인 주민등록등본 100% 콜센터 전화 + 서류 제출
TV 없는 가정 없음 (구두 확인) 100% 콜센터 전화 또는 온라인

 

자주 묻는 질문과 수신료 해지 핵심 정리

TV가 없으면 무조건 해지되나요? 네, TV 수상기가 없으면 수신료 납부 의무가 없으므로 해지 가능합니다. 단, PC 모니터나 스마트폰은 TV가 아니므로 별도 설명 없이 해지됩니다.

 

해지 신청 후 바로 수신료가 중단되나요? 아니요, 처리까지 1~2개월 소요되므로 그 기간 동안은 수신료가 청구될 수 있습니다. 처리 완료 후 다음 달부터 중단됩니다.

 

해지 후 다시 TV를 사면 어떻게 하나요? TV를 새로 구매하면 다시 수신료 납부 의무가 발생합니다. KBS 콜센터나 사업지사에 전화하여 재신청하거나, 자동으로 부과될 때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모니터만 있는데 수신료가 부과되면 어떻게 하나요? PC 모니터는 TV 튜너가 없어 납부 대상이 아니므로, 즉시 해지 신청하면 됩니다. 모니터 사진을 제출하면 더욱 확실합니다.

 

이사하면 수신료도 이사해야 하나요? 아니요, 전기 고객번호가 바뀌면 자동으로 새 주소로 이관됩니다. 별도 신청 없이 전기요금 고지서 주소 변경만 하면 됩니다.

 

수신료 미납 시 불이익은 무엇인가요? 전기요금과 함께 부과되므로, 수신료를 내지 않으면 전기요금 연체로 처리되어 전기가 끊길 수 있습니다. 해지 의사가 있다면 즉시 신청해야 합니다.

 

콜센터가 항상 혼잡한데 다른 방법은 없나요? 지역별 사업지사 전화번호로 직접 연결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대기 시간 없이 처리 가능합니다. 사업지사는 콜센터보다 연결이 빠릅니다.

 

KBS 수신료 해지는 콜센터 1588-1801번 또는 지역별 사업지사 전화번호로 간단히 신청할 수 있으며, TV가 없다는 사실만 확인되면 즉시 처리됩니다. 전국 28개 사업지사는 서울 강북 02-720-8182, 서울 강남 02-3474-2700, 인천 032-327-3892, 경기남부 031-219-8612, 경기동부 031-280-5013, 경기북부 031-927-8612, 춘천 033-258-7141, 강릉 033-648-9251, 원주 033-760-9252, 대전 042-470-7141, 천안 041-620-7220, 홍성 041-630-7330, 청주 043-279-9251, 충주 043-849-9252, 부산 051-790-0141, 울산 052-220-8041, 창원 055-283-5151, 진주 055-750-7241, 대구 053-760-5041, 구미 054-467-7512, 안동 054-850-0041, 포항 054-288-0141, 광주 062-613-5041, 목포 061-280-9841, 순천 061-729-1041, 전주 063-250-7041, 군산 063-440-6112, 제주 064-720-9002번입니다. 해지 시 전기 고객번호를 준비하고, 콜센터 혼잡 시 평일 오전 10시나 오후 4시 이후에 전화하며,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지만 처리까지 2~3일 소요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국가유공자, 65세 이상 홀몸 노인은 면제 대상이며, 해지 후 과납된 금액은 환불 신청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TV가 없거나 OTT만 시청하는 가정은 즉시 해지하여 월 2,500원, 연간 3만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KBS 수신료 해지 지역별 사업지사 전화번호 총정리 한전 콜센터 온라인 신청 방법까지
KBS 수신료 해지 지역별 사업지사 전화번호 총정리 한전 콜센터 온라인 신청 방법까지

공식 참고 링크 안내

KBS 공식 홈페이지 한국전력공사 방송통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