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체력 저하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교육부는 학생건강체력평가(PAPS) 제도의 확대 시행을 결정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우리 아이들의 체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2025년부터는 초등학교 3학년까지 PAPS 평가가 확대됩니다.
여러분은 PAPS가 정확히 무엇이고, 어떤 종목들이 있으며, 2025년에 새롭게 바뀌는 기준은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의 개념부터 종목별 측정방법, 등급 기준표, 그리고 2025년 새롭게 적용되는 확대시행 정책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학부모님들과 교사분들이 아이들의 체력 증진을 도울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PAPS(팝스) 학생건강체력평가제도란?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는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으로, 2009년에 도입되어 기존의 체력장 제도를 전면 개정한 선진화된 체력 평가 시스템입니다. 교육부에서 공식 인정한 이 제도는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에서 개발했으며, 학생들의 건강 체력과 비만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입니다.
PAPS의 목적과 중요성
PAPS는 단순히 학생들의 체력을 측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다음과 같은 중요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체계적인 건강체력 측정: 학생들의 체력 상태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측정합니다.
- 개인별 평가결과 제공: 개인별 평가결과와 신체활동 처방을 교사, 학생, 학부모에게 제공합니다.
- 건강체력 향상도 관리: 건강체력 향상도와 신체활동 실천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합니다.
- 저체력 학생 지원: 저체력 학생들(4·5등급)을 대상으로 특별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PAPS는 학교 현장에서 10년 이상 실시되어 왔으며, 학생들의 체력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특히 최근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와 신체활동 감소로 인한 학생들의 체력 저하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2025년 PAPS 확대시행의 배경
교육부는 2025년부터 PAPS 평가 대상을 초등학교 3학년까지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의 체력이 크게 저하된 것에 대한 대응책입니다. 교육통계에 따르면, 우수한 체력의 1~2등급 학생 비율이 코로나 이전보다 6.6%나 급감했습니다.
확대시행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기 체력관리를 통한 학생 건강 증진
- 저체력 학생 조기 발견 및 맞춤형 지원
- 학생들의 건강한 신체활동 습관 형성
PAPS 측정 종목 및 방법 총정리
PAPS는 5개의 체력요인에 따라 총 12개 종목 중에서 학교 상황에 맞게 종목을 선택하여 측정합니다. 각 체력요인별로 한 종목씩 선택하여 총 5개 종목을 평가합니다.
1. 심폐지구력 측정 종목 및 방법
심폐지구력은 장시간 동안 지치지 않고 일이나 운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다음 3가지 종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합니다.
1) 왕복오래달리기
- 측정 방법: 정해진 거리(초등 15m, 중·고등 20m)를 왕복하여 달립니다. 신호음에 맞추어 출발하고 다음 신호음이 울리기 전에 반대편 라인에 도달해야 합니다.
- 측정 기록: 왕복한 횟수를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신호음 발생 장치, 측정용 테이프, 콘
2) 오래달리기-걷기
- 측정 거리: 초등학생 1,000m, 중·고등학생 남자 1,600m, 여자 1,200m
- 측정 방법: 정해진 거리를 달리거나 걸어서 완주하는 시간을 측정합니다.
- 측정 기록: 완주 시간을 초 단위로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스톱워치, 출발신호기
3) 스텝검사
- 측정 방법: 40cm 높이의 스텝박스를 이용하여 분당 24회 속도로 3분간 오르내립니다. 운동 직후와 회복기의 심박수를 측정합니다.
- 측정 기록: 운동 후 1분, 2분, 3분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신체효율지수를 계산합니다.
- 측정 도구: 스텝박스, 메트로놈, 스톱워치
2. 유연성 측정 종목 및 방법
유연성은 관절의 가동범위를 말하며, 다음 2가지 종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합니다.
1)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 측정 방법: 바닥에 앉아 무릎을 펴고 상체를 앞으로 굽혀 손끝이 닿는 지점의 거리를 측정합니다.
- 측정 기록: 손끝이 닿는 지점의 거리를 cm 단위로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유연성 측정기
2) 종합유연성검사
- 측정 방법: 다양한 관절의 유연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어깨, 고관절, 체간 등의 유연성을 측정합니다.
- 측정 기록: 각 관절별 유연성 점수를 합산하여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종합유연성 측정기
3. 근력·근지구력 측정 종목 및 방법
근력은 근육이 한 번에 발휘할 수 있는 최대 힘을, 근지구력은 근육이 오랫동안 힘을 발휘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다음 4가지 종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합니다.
1) 악력
- 측정 방법: 손의 쥐는 힘을 측정합니다. 양손을 번갈아가며 2회씩 측정하여 높은 값을 기록합니다.
- 측정 기록: 킬로그램(kg) 단위로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악력계
2) 윗몸말아올리기
- 측정 방법: 누운 자세에서 상체를 말아 올려 측정선까지 올라오는 횟수를 측정합니다.
- 측정 기록: 1분간 실시한 횟수를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매트, 스톱워치, 측정기
3) 팔굽혀펴기
- 측정 방법: 남학생은 발을 모으고 무릎을 편 상태로, 여학생은 무릎을 바닥에 대고 팔굽혀펴기를 실시합니다.
- 측정 기록: 1분간 실시한 횟수를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매트, 스톱워치
4) 무릎대고팔굽혀펴기
- 측정 방법: 무릎을 바닥에 대고 팔굽혀펴기를 실시합니다.
- 측정 기록: 1분간 실시한 횟수를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매트, 스톱워치
4. 순발력 측정 종목 및 방법
순발력은 짧은 시간 내에 최대의 힘을 발휘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다음 2가지 종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합니다.
1) 50m 달리기
- 측정 방법: 50m 직선 거리를 최대한 빠르게 달립니다.
- 측정 기록: 초 단위로 기록합니다(0.01초까지).
- 측정 도구: 스톱워치, 출발신호기
2) 제자리멀리뛰기
- 측정 방법: 제자리에서 최대한 멀리 뛰어 착지한 지점의 거리를 측정합니다.
- 측정 기록: 센티미터(cm) 단위로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측정매트 또는 모래터
5. 체지방 측정 종목 및 방법
체지방은 신체 구성 요소 중 지방의 비율을 말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합니다.
1) 체질량지수(BMI)
- 측정 방법: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눕니다.
- 측정 기록: BMI 값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신장계, 체중계
2) 체지방률
- 측정 방법: 생체전기저항분석법(BIA) 등을 이용하여 체지방률을 측정합니다.
- 측정 기록: 체지방률(%)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기록합니다.
- 측정 도구: 체성분 분석기
PAPS 등급 기준표 (2025년 최신 기준)
PAPS 평가 결과는 1~5등급으로 구분되며, 각 등급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 1등급: 매우 우수 (상위 5%)
- 2등급: 우수 (상위 5~25%)
- 3등급: 보통 (상위 25~75%)
- 4등급: 저체력 (하위 5~25%)
- 5등급: 매우 저체력 (하위 5%)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25년 최신 PAPS 등급 기준표를 종목별, 학년별, 성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심폐지구력 등급 기준표
왕복오래달리기 (회)
남자 | 학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
초3 | 55 이상 | 34-54 | 17-33 | 11-16 | 10 이하 | |
초4 | 62 이상 | 41-61 | 21-40 | 13-20 | 12 이하 | |
초5 | 72 이상 | 51-71 | 26-50 | 16-25 | 15 이하 | |
초6 | 80 이상 | 58-79 | 29-57 | 19-28 | 18 이하 | |
중1 | 91 이상 | 65-90 | 34-64 | 21-33 | 20 이하 | |
중2 | 95 이상 | 69-94 | 36-68 | 23-35 | 22 이하 | |
중3 | 99 이상 | 73-98 | 38-72 | 25-37 | 24 이하 | |
고1 | 101 이상 | 76-100 | 41-75 | 27-40 | 26 이하 | |
고2 | 103 이상 | 78-102 | 43-77 | 29-42 | 28 이하 | |
고3 | 105 이상 | 80-104 | 45-79 | 30-44 | 29 이하 |
여자 | 학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
초3 | 42 이상 | 26-41 | 13-25 | 8-12 | 7 이하 | |
초4 | 47 이상 | 31-46 | 15-30 | 10-14 | 9 이하 | |
초5 | 52 이상 | 36-51 | 18-35 | 11-17 | 10 이하 | |
초6 | 57 이상 | 40-56 | 21-39 | 13-20 | 12 이하 | |
중1 | 59 이상 | 43-58 | 22-42 | 14-21 | 13 이하 | |
중2 | 62 이상 | 45-61 | 23-44 | 15-22 | 14 이하 | |
중3 | 64 이상 | 47-63 | 24-46 | 16-23 | 15 이하 | |
고1 | 65 이상 | 48-64 | 25-47 | 16-24 | 15 이하 | |
고2 | 65 이상 | 49-64 | 26-48 | 17-25 | 16 이하 | |
고3 | 66 이상 | 50-65 | 27-49 | 18-26 | 17 이하 |
유연성 등급 기준표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cm)
남자 | 학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
초3 | 15.1 이상 | 11.6-15.0 | 4.1-11.5 | 0.1-4.0 | 0 이하 | |
초4 | 15.6 이상 | 12.1-15.5 | 4.6-12.0 | 0.6-4.5 | 0.5 이하 | |
초5 | 16.1 이상 | 12.6-16.0 | 5.1-12.5 | 1.1-5.0 | 1.0 이하 | |
초6 | 16.6 이상 | 13.1-16.5 | 5.6-13.0 | 1.6-5.5 | 1.5 이하 | |
중1 | 17.1 이상 | 13.6-17.0 | 6.1-13.5 | 2.1-6.0 | 2.0 이하 | |
중2 | 18.1 이상 | 14.6-18.0 | 7.1-14.5 | 3.1-7.0 | 3.0 이하 | |
중3 | 19.1 이상 | 15.6-19.0 | 8.1-15.5 | 4.1-8.0 | 4.0 이하 | |
고1 | 19.6 이상 | 16.1-19.5 | 8.6-16.0 | 4.6-8.5 | 4.5 이하 | |
고2 | 20.1 이상 | 16.6-20.0 | 9.1-16.5 | 5.1-9.0 | 5.0 이하 | |
고3 | 20.6 이상 | 17.1-20.5 | 9.6-17.0 | 5.6-9.5 | 5.5 이하 |
여자 | 학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
초3 | 17.1 이상 | 13.6-17.0 | 6.1-13.5 | 2.1-6.0 | 2.0 이하 | |
초4 | 17.6 이상 | 14.1-17.5 | 6.6-14.0 | 2.6-6.5 | 2.5 이하 | |
초5 | 18.1 이상 | 14.6-18.0 | 7.1-14.5 | 3.1-7.0 | 3.0 이하 | |
초6 | 18.6 이상 | 15.1-18.5 | 7.6-15.0 | 3.6-7.5 | 3.5 이하 | |
중1 | 20.1 이상 | 16.6-20.0 | 9.1-16.5 | 5.1-9.0 | 5.0 이하 | |
중2 | 21.1 이상 | 17.6-21.0 | 10.1-17.5 | 6.1-10.0 | 6.0 이하 | |
중3 | 22.1 이상 | 18.6-22.0 | 11.1-18.5 | 7.1-11.0 | 7.0 이하 | |
고1 | 22.6 이상 | 19.1-22.5 | 11.6-19.0 | 7.6-11.5 | 7.5 이하 | |
고2 | 23.1 이상 | 19.6-23.0 | 12.1-19.5 | 8.1-12.0 | 8.0 이하 | |
고3 | 23.6 이상 | 20.1-23.5 | 12.6-20.0 | 8.6-12.5 | 8.5 이하 |
체질량지수(BMI) 등급 기준표
남자/여자 공통 | 학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
초3 | 13.9-18.3 | 12.6-13.8 또는 18.4-20.7 | 11.9-12.5 또는 20.8-24.0 | 11.1-11.8 또는 24.1-28.1 | 11.0 이하 또는 28.2 이상 | |
초4 | 14.0-18.5 | 12.7-13.9 또는 18.6-20.9 | 12.0-12.6 또는 21.0-24.4 | 11.2-11.9 또는 24.5-28.4 | 11.1 이하 또는 28.5 이상 | |
초5 | 14.1-18.8 | 12.8-14.0 또는 18.9-21.5 | 12.1-12.7 또는 21.6-25.0 | 11.3-12.0 또는 25.1-29.0 | 11.2 이하 또는 29.1 이상 | |
초6 | 14.2-19.1 | 12.9-14.1 또는 19.2-22.0 | 12.2-12.8 또는 22.1-25.6 | 11.4-12.1 또는 25.7-29.6 | 11.3 이하 또는 29.7 이상 | |
중1 | 16.0-20.4 | 14.7-15.9 또는 20.5-23.4 | 14.0-14.6 또는 23.5-27.0 | 13.2-13.9 또는 27.1-31.0 | 13.1 이하 또는 31.1 이상 | |
중2 | 16.3-21.0 | 15.0-16.2 또는 21.1-24.1 | 14.3-14.9 또는 24.2-27.7 | 13.5-14.2 또는 27.8-31.7 | 13.4 이하 또는 31.8 이상 | |
중3 | 16.5-21.5 | 15.2-16.4 또는 21.6-24.8 | 14.5-15.1 또는 24.9-28.4 | 13.7-14.4 또는 28.5-32.4 | 13.6 이하 또는 32.5 이상 | |
고1 | 17.0-22.1 | 15.7-16.9 또는 22.2-25.4 | 15.0-15.6 또는 25.5-29.0 | 14.2-14.9 또는 29.1-33.0 | 14.1 이하 또는 33.1 이상 | |
고2 | 17.3-22.6 | 16.0-17.2 또는 22.7-25.9 | 15.3-15.9 또는 26.0-29.5 | 14.5-15.2 또는 29.6-33.5 | 14.4 이하 또는 33.6 이상 | |
고3 | 17.5-23.0 | 16.2-17.4 또는 23.1-26.3 | 15.5-16.1 또는 26.4-30.0 | 14.7-15.4 또는 30.1-34.0 | 14.6 이하 또는 34.1 이상 |
2025년 PAPS 확대시행 정책 주요 내용
2025년부터 교육부는 PAPS 제도를 대폭 확대 시행합니다. 교육부 공식 발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주요 변화가 있습니다.
1. 평가 대상 확대
- 기존: 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3학년
- 변경: 초등학교 3학년~고등학교 3학년
2. 저체력 학생 지원 강화
PAPS 평가 결과 저체력(4·5등급) 학생들을 위한 ‘건강체력교실’ 운영이 강화됩니다.
- 맞춤형 체력 프로그램: 학생 개개인의 체력 수준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 가상체험(VR) 체육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흥미로운 체육 활동 지원
- 건강체력교실 앱 보급: 2025년 ‘건강체력교실’ 애플리케이션 보급 예정
3. 디지털 기반 PAPS 시스템 구축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협력하여 4세대 지능형 나이스(NEIS)와 연계된 PAPS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실시간 평가 데이터 관리: 학생들의 체력 평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
- AI 기반 맞춤형 처방: 학생 개인별 체력 상태에 따른 AI 기반 맞춤형 운동 처방 제공
- 모바일 접근성 강화: 학생과 학부모가 모바일로 쉽게 체력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
4. 학교 체육 환경 개선
PAPS 확대시행과 함께 학교 체육 환경 개선도 추진됩니다.
- 체육 시설 확충: 학교 내 체육 시설 확충 및 현대화
- 체육 기구 지원: 다양한 체육 활동을 위한 기구 지원
- 전문 인력 배치: 체육 전문 인력 배치를 통한 지도 강화
PAPS 평가를 위한 효과적인 준비 방법
학생들이 PAPS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한 효과적인 준비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한 운동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운동이 효과적입니다:
- 유산소 운동: 조깅,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
- 인터벌 트레이닝: 고강도와 저강도 운동을 번갈아가며 하는 방식
- 서킷 트레이닝: 여러 운동을 순환하며 쉬지 않고 연속해서 하는 방식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해서는 주 3-5회, 3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을 권장합니다.
유연성 향상을 위한 스트레칭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스트레칭이 필수적입니다:
- 정적 스트레칭: 특정 자세를 15-30초간 유지하는 스트레칭
- 동적 스트레칭: 움직임을 통해 근육과 관절의 가동범위를 넓히는 스트레칭
- PNF 스트레칭: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고급 스트레칭 기법
매일 10-15분씩 전신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를 위해서는 햄스트링과 허리 스트레칭에 집중하세요.
근력·근지구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근력과 근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체 체중 운동: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스쿼트 등
- 서킷 트레이닝: 여러 근력 운동을 연속해서 하는 방식
- 탄성밴드 운동: 저항밴드를 이용한 다양한 근력 운동
주 2-3회, 각 운동별 8-15회씩 2-3세트를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순발력 향상을 위한 플라이오메트릭 운동
순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이 효과적입니다:
- 점프 운동: 다양한 높이와 방향으로의 점프 훈련
- 스프린트 훈련: 짧은 거리를 최대 속도로 달리는 훈련
- 계단 달리기: 계단을 빠르게 오르내리는 훈련
주 2회 정도,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체지방 관리를 위한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건강한 BMI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균형 잡힌 식단: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균형 있는 섭취
- 적절한 칼로리 섭취: 활동량에 맞는 적절한 칼로리 섭취
- 규칙적인 운동: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의 병행
- 충분한 수면: 하루 7-8시간의 양질의 수면
- 수분 섭취: 하루 8잔 이상의 물 섭취
PAPS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Q1: PAPS 평가는 언제 실시되나요?
A1: PAPS 평가는 일반적으로 학년 초(3-5월)에 실시하며, 학교에 따라 학년 말에 추가로 실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한 일정은 각 학교의 계획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학교 공지사항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Q2: PAPS 결과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A2: PAPS 결과는 학교에서 개별적으로 통지하거나, 나이스(NEIS) 학부모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이스 학부모 서비스에 로그인하여 ‘건강기록’ 메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3: 저체력(4·5등급) 판정을 받으면 어떻게 되나요?
A3: 저체력 판정을 받은 학생은 ‘건강체력교실’에 참여하게 됩니다. 이는 체력 향상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으로, 전문 지도자의 지도 하에 맞춤형 운동을 실시하게 됩니다. 2025년부터는 더욱 강화된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Q4: 초등학교 3학년도 2025년부터 PAPS 평가를 받나요?
A4: 네,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2025년부터 PAPS 평가 대상이 초등학교 3학년까지 확대됩니다. 이는 조기에 학생들의 체력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Q5: PAPS 평가 결과가 내신에 반영되나요?
A5: PAPS 평가 결과 자체는 내신에 직접 반영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체육 교과의 평가 항목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학교별 평가 계획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결론: 학생 건강을 위한 PAPS의 중요성
PAPS는 단순한 체력 측정을 넘어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특히 2025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까지 확대 시행되는 PAPS는 조기에 학생들의 체력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함으로써 건강한 신체 발달을 도모합니다.
학부모님들과 교사들은 PAPS를 통해 아이들의 체력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운동과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체력 학생들을 위한 ‘건강체력교실’과 같은 프로그램은 체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PAPS와 같은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확대 시행되는 PAPS가 모든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합니다.
